2022년 이후 선거 신뢰 붕괴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 이후 대한민국의 선거 시스템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무너지고 있다. 잇따라 제기되는 전자개표기의 조작 가능성, 사전투표 바꿔치기 의혹, 투표용지 일치 문제, 그리고 투표함 이송 과정의 비정상성은 단순한 소문이 아닌 구체적인 정황과 데이터로 뒷받침되는 고발로 이어지고 있다.
의혹1 : 전자개표기 조작 가능성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전자개표기가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작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다수의 보안 전문가들과 현장 감시자들은 “물리적 분리가 보안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는다”고 반박한다. 특정 후보 득표율이 정규분포를 벗어나 일관된 비율로 조정되어 나타나는 데이터는 단순 오차로 설명하기 어려운 기계적 개입의 흔적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의혹2 : 사전투표 조작 의심 사례
사전투표와 본투표 간의 결과 차이가 극심한 지역에서 도장이 동일한 위치에 찍힌 투표용지, 같은 필체의 서명, 투표용지 양식 자체의 이상 등이 발견되었다는 시민 제보가 이어지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사전투표 수치가 본투표 결과와 정반대 흐름을 보이는 현상이 연속적으로 발생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설명 불가능한 수치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의혹3 : CCTV 사각지대에서 사라진 투표함
인천 소재 한 개표소에서 촬영된 영상에는 투표함이 1시간 넘게 차량 안에 방치되었다가 교체되어 들어가는 장면이 포착되었다. 이 영상은 유튜브에서 차단되었으나, 고구려 프레스는 제보자의 원본 파일과 진술서를 확보하고 있다. 이처럼 공정한 개표를 위한 필수 절차가 현장에서 무력화되고 있는 정황은 전국 각지에서 보고되고 있다.
전문가들의 분석
많은 통계학자들은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사전투표의 수치가 본투표와 반복적으로 반대 흐름을 보이는 것은 통계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이상 현상이다. 이는 일정한 알고리즘 또는 인위적인 분배·조작 가능성을 의심하게 한다.”
또한, 선거구별 득표율 분포가 정규분포에서 벗어나 동일한 비율 패턴을 보이는 현상 역시 정상적인 투표 결과로 보기 어렵다는 분석이 다수 제기되고 있다.
레거시 언론과 선관위의 침묵
이러한 심각한 정황에도 불구하고, 레거시 언론은 이를 ‘가짜뉴스’로 몰아가거나 아예 보도하지 않는다. 중앙선관위는 수차례 문제 제기에 대해 “근거 없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은 묻고 있다. “근거 없는 것은 정말 의혹인가, 아니면 조사를 거부당한 진실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