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수)

트럼프가 건넨 건 ‘인정’이 아닌 거래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가 이재명 대통령의 워싱턴 만남은 한·미 관계라는 큰 틀에서 보자면 외교적 이벤트일 수 있다. 그러나 냉정히 들여다보면 이 만남은 ‘인정’이라기보다 ‘거래’의 성격에 가깝다.

 

트럼프는 회담 직전 한국 정국을 “숙청, 혁명 같다”는 강한 표현으로 묘사했다. 이는 한국 사회의 혼란과 이재명 정권의 불안정성을 이미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리에 앉은 이유는 명확하다. 미국의 국익을 위한 협상 때문이었다. 관세, 방위비, 북핵 문제 등 모든 의제는 미국 중심으로 설계됐다.

 

문제는 이재명의 태도다. 그는 귀국 직후 “트럼프가 나를 상대했다”는 사실을 포창하며 국내 정치에 활용하려 했다. 부정선거 논란과 윤석열 대통령 구속 문제, 대북 송금 의혹은 회담 테이블 위에 오르지도 않았는데, 마치 외교 무대에서 자신의 정통성이 보장된 것처럼 치부하고 있다. 이는 국민적 불신을 해소하는 길이 아니라, 오히려 더 큰 불신을 낳을 수 있다.

 

이번 회담이 남긴 본질은 분명하다. 미국은 이재명을 지도자로 지지한 것이 아니라, 협상할 필요가 있으니 대화에 나선 것일 뿐이다. 즉, 조건부 협력 관계일 뿐이다. 이재명이 이를 정통성의 증표처럼 내세운다면, 이는 정치적 과장에 불과하다.

 

앞으로 우려되는 점은 분명하다. 이재명이 “국제사회도 인정했다”는 논리를 앞세워 우파 세력에 대한 압박을 강화할 가능성이다. 그러나 정통성은 국제사회가 부여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국민의 단결과 진실에 대한 요구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이번 회담의 재평가는 명확하다. 트럼프는 거래를 원했고, 이재명은 이를 인정으로 포장했다. 그러나 국민은 알고 있다. 인정은 외부가 주는 것이 아니라, 내부의 진실과 자유민주주의를 지켜내려는 국민의 의지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