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현장 리포트

[기획] 해외로 뻗는 중국인 간첩망… “제2의 인해전술” 경계령

시진핑의 ‘중국몽’ 구현 위한 중국공산당의 ‘현대식 점령술’ 들통
시진핑의 ‘중국몽’과 제2의 인해전술… 이제는 ‘내정 침투형 간첩질’
과거엔 총칼로 영토 침략… 지금은 기부금과 정치 침투로 주권 침탈
한미동맹 기반 인도-태평양 내 ‘反중국 안보 네트워크’ 형성 절실

 

“그녀는 도대체 누구인가?”… 필리핀 젊은 여성 시장의 충격 실체

2024년 필리핀 북부 루손섬 밤반시. 인구 5만명이 채 안 되는 조용한 농촌 마을에 중국계 여성 앨리스 궈(35)가 시장으로 당선됐다. 그러나 2025년 3월 온라인 카지노 단속 중 구출된 수백 명의 피해자와 현장에서 발견된 와인 저장고·헬기·호화 저택이 그녀의 실소유로 드러나며 ‘간첩 의혹’은 급속도로 커졌다.

 

시장실 바로 뒤에 위치한 카지노 영업장은 수백 명을 가둬놓고 온라인에서 이성에게 접근해 돈을 뜯어내는 ‘로맨스 스캠’ 범죄 소굴이었다. 당국은 영업소를 급습해 중국인 202명과 다른 외국인 72명 등 감금된 약 700명의 근로자를 구출했다. 이들은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필리핀 상원 청문회에 출석한 궈(Guo)는 출생 배경도 교육 이력도 거주지조차 “기억나지 않는다”고 답변하며 필리핀 국민을 경악하게 했다. “그녀의 과거를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상원 의원의 말처럼 궈는 철저히 배경을 지운 채 출생신고도 없이 살다가 17세에 신고하고, 2021년 유권자 등록을 마치고 2022년 시장에 당선됐다.

 

영국 BBC 등에 따르면 결국 그녀는 중국 공산당의 지시로 필리핀에 침투한 중국인 간첩으로 드러났다. 진짜 이름은 궈화핑. 13살에 입국해 필리핀인 신분으로 위장해 시장직까지 거머쥔 ‘위장간첩’이었다. 도주 중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체포된 그녀의 실체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중국공산당의 전략적 침투 시도로 판명됐다. 즉, 그녀는 중국 정부와 범죄조직을 위한 ‘정치적 전초기지’로 지역 정치권을 장악한 간첩이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드론·도청장치·기부공작… 필리핀 전역 덮친 中공산당 간첩망

 

궈 시장 사건은 시작에 불과했다.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필리핀 전역에서는 화교단체 인사 수십 명이 간첩 혐의로 잇따라 체포되었다. 이들은 군사기지·해안초소·대통령궁·미군 협력기지 등을 드론과 휴대전화로 촬영·도청했으며, 지방정부와 경찰에 수천만원 상당의 기부금과 오토바이를 기증하는 ‘기부공작’으로 현지 공무원을 포섭했다. 이들은 중국대사관 무관과도 수차례 접촉했고 “지역 기부금은 간첩 작전 자금이었다”는 수사 결과가 나왔다.

 

체포된 인사 대부분은 중화전국귀국화교연합회(ACFROC) 소속으로, 이는 중국공산당 통일전선부의 해외 공작 조직이다. 심지어 중국 인민해방군 장성 출신 무관이 이들과 공식 행사에 함께 참여한 장면이 다수 포착되며, 이는 단순한 간첩 사건이 아니라 국가 단위의 장기 전략임이 드러났다.

 

“중국 유학생이 미군기지 드론 촬영”… 한국도 예외 아냐

 

이러한 움직임은 필리핀만의 문제가 아니다. 최근 한국에서도 중국인 유학생이 미군 함정이 입항 중이던 항구를 드론으로 촬영하다 적발되거나 방화·뺑소니 및 무면허 운전 등 다양한 범죄로 체포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 제주·울산·서울 등지에서 무면허 운전·도주치상·차량 절도·감금 등 혐의로 중국 국적 불법체류자들이 구속되었으며, 심지어 차를 몰고 전복 후 하수도관 옆에 은신했던 사건까지 있었다. 이들 대부분은 불법체류자 신분으로 국내에 잠입하거나 법망을 피하며 국내에서 각종 범죄에 연루된 중국인 사례였다.

 

시진핑의 ‘중국몽’과 제2의 인해전술… 이제는 ‘내정 침투형 간첩질’

 

과거 중국은 6·25전쟁 당시 ‘인해전술’로 30만 병력을 북한을 통해 남하시켰다. 그로부터 70여 년이 흐른 지금 중국은 ‘간첩전술’로 세계를 점령하려 한다. 위장된 유학생·사업가·시장 후보를 국경을 너머로 보내 전쟁 대신 “지자체 장악→기부 공작→정보 수집 및 간첩 활동”이라는 전략으로 바뀌었다. 직접 무기를 들지 않지만 현지화된 인물을 통해 정권과 지역 행정을 장악하고, 그 지역의 치안과 안보를 중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전환시키려 한다.

 

이는 시진핑 주석이 집권 후 강조한 “하나의 중국, 하나의 영향력”을 표방하는 통일전선 전략의 일환인 ‘중국몽(中國夢)’과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 즉 전 세계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중국식 ‘지정학적 팽창주의’의 한 축이다.

 

국제사회 반응은?… 필리핀, 내정간섭금지법 추진·日·캐나다와 군사협력 강화

 

필리핀은 이 문제를 계기로 ‘내정간섭금지법’ 입법을 추진 중이다. 외국 단체의 기부는 대통령 승인 없이는 불가능하게 하는 내용을 골자로 호주·캐나다·일본 등 인도-태평양 민주국가들과의 안보 협력도 급속히 확대 중이다. 일본과 ACSA(군사물자상호제공협정) 협상을 개시했으며, 뉴질랜드와 VFA(방문군지위협정)도 체결했다. 이는 미국·호주와의 기존 군사협력과 함께 인도-태평양 내 ‘반(反)중국 안보 네트워크’ 형성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회색지대 전술이 현실화… 韓도 뚫릴 수 있다”

 

중국이 사용하는 ‘회색지대 전술(Grey Zone Tactics)’은 군사력이 아닌 비군사적·비대칭적 수단으로 상대국 주권을 침해하는 전략이다. 어선을 가장한 민병대, 기부금을 내세운 간첩 포섭, 불법 체류자 활용 범죄 네트워크 구축 등이 대표적이다. 전문가들은 “한국도 이미 뚫렸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

 

지방선거에서 중국계 후보가 출마하는 일이 실제로 발생했고, 일부 유학생 커뮤니티에서는 조직적으로 정치 캠페인 활동에 동원된 정황도 포착됐다. 중국공산당과 연결된 민간단체의 국내 법인 등록, 지방정부와의 교류 확대, 공자학원 같은 문화 기부 공작 역시 철저한 조사와 대비가 필요하다.

 

중국의 간첩 행위는 무기 없는 전쟁이다

 

이제 전쟁은 총칼로만 이뤄지지 않는다. 중국은 ‘사람’을 무기로 삼는다. 궈 시장처럼 타국의 공직에 침투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불법체류자·화교단체를 동원해 사회를 마비시키는 것은, 제2의 인해전술이며 신형 전쟁의 서막이다.

 

한국 사회 역시 이 거대한 지정학적 움직임 속에 놓여 있다. 우리가 눈을 감는 순간, 중국은 한 발 더 들어올 것이다. 하루라도 빨리 한미동맹에 기반한 ‘반(反)중국 안보 네트워크’ 동참이 절실하다.

 

‘간첩 없는 세상’ 위한 국가적 대응 필요

 

이제 각국은 선택의 기로에 놓여 있다. 방관하고 허용한다면 도시의 시장, 교육의 교장, 경제의 자본가가 간첩일 수도 있다. 중국공산당은 무력 대신 이민, 전투복 대신 양복, 총 대신 스마트폰을 든 첩자들을 보낸다. 이는 현대전의 한 양상이자 주권과 안보를 겨누는 조용한 폭력이다.

 

한국 역시 외국인 정치참여, 불법체류 방조, 국가기밀 유출 가능성 등 중국 관련 리스크를 정밀 분석하고 법적·제도적 방어선을 강화해야 할 시점이다. 더 늦기 전에.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조정진 기자

작가·언론인
세계일보 기자·문화부장·논설위원
한국통일신문·시사통일신문 편집국장·대표
스카이데일리 논설주간·발행인·편집인·대표 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