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1 (토)

외교 및 국제 관계 리포트

전체기사 보기

중국 무비자, 우리는 거부한다

중국 여행·상품 불매는 국민 저항의 첫걸음

이재명 정권이 추진한 중국 무비자(無Visa) 정책이 이미 시행되면서, 시민 사회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무비자 입국 허용이 현실화되자 국가 안보와 사회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각계에서는 “중국 여행과 중국 상품 불매”를 통해 저항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역사는 이미 소비자 행동이 강력한 저항 수단임을 보여준다. 1930년대, 특히 1931년 일본의 만주 침략(만주사변) 이후,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비롯한 미주 지역의 중국계 미국인 사회는 중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일본의 침략에 저항하기 위해 일본 상품 불매 운동을 전개했다. 샌프란시스코 차이나타운은 이러한 운동의 주요 거점으로, 교민들은 일본 제품 불매를 촉구하고 일본으로 향하는 고철 및 전쟁 물자 수출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상점과 지역사회에서는 일본 상품 판매를 거부하며 불매를 독려했고, 일본의 주요 수출품이었던 비단 제품, 특히 스타킹 구매를 중단하는 캠페인이 전개되었다. 이로 인해 1936년부터 1938년 사이 일본의 대미 비단 수출은 크게 감소했다. 이러한 불매운동은 해외 교민 사회가 본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침략 저지에 기여한 대표적인 경제적 저항 사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