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2 (일)

애국 칼럼

전체기사 보기

키르기스스탄 시민혁명 승리 리포트

세 번의 혁명, 침묵을 깨고 민주주의를 지킨 시민의 힘

키르기스스탄은 지난 20년 동안 세 차례의 시민혁명을 겪었다. 2005년 ‘튤립 혁명’, 2010년 ‘4월 혁명’, 2020년 ‘부정선거 항쟁’으로 이어진 대중 저항은 반복되는 권력 부패와 선거 조작 의혹에 맞선 시민 참여의 역사였다. 2005년에는 아스카르 아카예프 장기집권과 총선 부정이 분노를 촉발했다. 수도 비슈케크에 모인 시민들은 정부 청사로 진격했고, 결국 대통령은 축출됐다. 2010년에는 쿠르만벡 바키예프 정권의 가족 독점, 전기요금 폭등, 강경 통치가 민심을 뒤집었다. 시위대는 단기간에 권력 핵심부를 압박했고 바키예프는 권좌에서 밀려났다. 세 번째 항쟁은 2020년 10월 총선 부정사태였다. 집권 세력이 의회 다수를 싹쓸이하자 *표를 도둑맞았다”는 구호가 번졌다. 시위대는 대통령궁과 의회를 점거, 소론바이 젠베코프는 “피 흘림을 막기 위해 물러난다”며 사임했다. 국제기구의 관측과 평가도 이어졌다. 유럽안보협력기구(OSCE/ODIHR)와 미국 국무부 인권보고서는 2005·2010·2020년 선거에서 매표, 행정 중립성 훼손, 공권력 개입 의혹 등을 반복적으로 지적했다. 그러나 국제사회 대응은 대체로 “감시·평가 보고서” 수준에 머물렀고, 변화를 이